피그헤드랩 2021 워크샵 프로그램 <터닝포인트>_20210106-20210502
피그헤드랩 2021 워크샵 프로그램 <터닝포인트>_
참여작가 : 도듀이, 윤보라, 이은우, 정지은, 기획 및 진행 : 오종원
2021년 1월 6일부터 2021년 5월 2일까지 진행된 워크샵 & 전시 프로그램
<터닝포인트>는 기본적으로 창작 활동을 진행하는 것 자체와 향후 방향성에 대해 고민하는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2021년의 경우 총 4명의 작가가 참여, 5번의 공식 모임과 다수의 개별 미팅 등을 진행하였으며 5월부터 8월까지 개인전의 기회를 갖습니다. 진행 과정에서 자신의 작업의 과정에 대한 인터뷰, 그리고 일부 이미지들을 선정하여 피그헤드랩 내 웹 포트폴리오 아카이브를 제공합니다.
워크샵을 진행하며
<터닝포인트>는 예술가들에게 닥칠 수 있는 어떤 상황을 한 지점이라 가정하고자 합니다. 그 지점은 창작활동을 하다 보면 자의 반 타의 반으로 그 행위에 온전히 집중할 수 없는 때를 이야기합니다. 그 경우는 다양하여 슬럼프의 형태로 창작 자체가 어려워질 때도 있고 또 생업이나 가정에 집중하게 되며 환경적으로 어려워지는 것도 있을 것입니다. 건강에 문제가 생겨서, 더 이상 전시기회가 잡히질 않아서 같은 이유들도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이런 상황들은 극적으로 몰아 닥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삶에 천천히 스며드는 경우도 있을 것인데, 원인이야 무척 다양하겠지만 어쨌든 그러한 지점에 닿은 예술가에게는 그것을 극복하고 발전하거나 수용하고 창작을 멈추는 등 모종의 행동과 결심을 필요로 하는 지점은 맞을 것입니다. 피그헤드랩은 그것을 창작가가 예술 창작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동기부여의 시기임과 동시에 자신의 통찰하는 계기의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제시할 수 있는 해결(이것을 해결이라 칭할 수 있다면) 방법은 객관적인 자세일 것입니다. 예술 행위는 창작임에 분명하지만 창작이 전시와 개인의 커리어가 되는 과정은 예술 산업에 임하는 것이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즉 예술 행위와 예술 산업에 임하는 개인의 태도를 타자화 된 시선으로 분석하고 자신이 취할 방법을 현실적인 사항에서 고민해보고자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본 프로그램은 다수의 워크샵, 그리고 질문지를 통해 개인이 창작을 다루는 자세를 돌이켜 보고 스스로 예술가라는 정체성의 인지와 범위를 설정하고자 합니다. 경우에 따라 크리틱 등을 동반하여 자신의 작업이 세상에 어떻게 보여지는지, 또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돌아보는 계기 또한 만들고자 하였습니다.
2020년의 경우 기획자 오종원의 진행 하에 도듀이, 윤보라, 이은우, 정지은 네 명의 예술가가 참여하였으며 1월부터 5월까지 공식적으론 5회의 모임과 함께 희망자에 한해 비정규적인 다수의 개별 크리틱 및 대화의 자리를 가졌습니다. 1회의 단체전과 각 1회의 개인전 기회가 주어졌으며 이 과정에서도 단순히 개인의 창작품들을 보여준다는 개념보다 예술가로서 자신과 자신의 창작품이 좀더 객관적이고 진정성을 보여줄 수 있게끔 하는 것에 집중하였습니다. 내부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지면서 관객이라 할 수 있는 타자에게 자신의 창작물이 어떻게 보여지는가에 대한 논의도 지속하였습니다.
참여작가들에게 이 과정들이 얼마만큼의 영향을 줄 지는 각기 다르겠지만 전반적인 프로그램의 진행 과정에서 예술가로서 본인이 진행해온 창작의 행위와 그 동기에 대해 최대한 진솔하게 소통하고 공유했던 시간이라 생각합니다. 참여작가들은 스스로 다음의 과정을 발견한 이도, 또 아직까지 고민을 반복하고 있는 이들도 있을 수 있겠지만 일단 이 프로그램을 통해 어떤 지점을 인지하고 그것을 서로 공유한 것 만으로도 큰 성과라 생각해봅니다. 피그헤드랩은 향후로도 본 인연을 지속하여 더욱 다양한 아이디어를 실현하고자 합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정부의 경계지침을 최대한 준수하였으며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였습니다. 그로 인해 더 많은 활동을 위한 아이디어들이 실현되지 못한 아쉬움이 없지 않지만 차후를 기약하고자 합니다.

터닝포인트 프로그램 기반 단체전 <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누르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터닝포인트 프로그램 기반 개인전
이미지를 누르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터닝포인트 공모 내역
이미지를 누르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터닝포인트 프로그램 진행 사진





터닝포인트 프로그램 질문지
2020년 터닝포인트는 약 3달의 시간동안 3회에 걸쳐 3개의 질문지를 작성하고, 그것을 서로 공유하고 대화하며 피드백을 갖도록 하였습니다. 질문지의 구성은 피그헤드랩, 그리고 기획자 오종원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점인 문화예술 산업 및 사회의 구조에서 예술가라는 위치의 설정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차후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해당 질문지의 내용은 바뀔 수 있습니다.

